[목표의 영향]
1. 목표지향성이론 (성취목표이론)
: 과제 수행의 목표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과제 수행의 과정과 결과가 달라진다는 이론이다.
지향성이 다른 두 목표 중 어느 목표를 세우느냐에 따라서 인지, 정서, 행동의 결과가 달라지는데 그 두 목표는 숙달목표와 수행목표이다.
숙달목표는 과제 숙달 및 이해 증진 등 학습활동 그 자체에 초점을 둔 목표를 말한다. 이 목표는 자신의 유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관심을 둔다.
수행목표는 자신의 능력을 타인의 능력과 비교하는 데 초점을 둔 목표로 자신의 능력이 타인에 의해 어떻게 평가받는지에 관심을 두는 목표이다.
지능에 대해 증가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는 자신의 지능을 즉 능력을 향상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어서 숙달목표를 추구하며, 지능에 대해 고정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는 자신의 능력을 타인과 비교하는 데 관심이 있어서 수행목표를 추구한다.
숙달목표를 추구하는 학습자는 실수와 실패에 상관없이 더 나은 향상을 위해 노력하기 떄문에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하고,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적절한 도움을 구해 더 나은 학습전략을 찾으려고 지속해서 노력한다. 그리고 학습과제에 자신감을 갖고 도전하는 편이다.
반면에 수행목표를 추구하는 학습자는 실패와 실수에 직면하면 불안감이 높아지고 수행 회피 지향성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과제나 쉬운 과제를 선택한다. 어려움이 닥치면 쉽게 빨리 갈 수 있는 길을 찾기 위해 옆 친구의 답을 베끼거나 힘들고 나쁜 결과를 숨기려 한다.
각 목표의 특징을 보면 당연하게도 숙달목표를 지향하는 학습자가 바람직함이 느껴진다.
그렇다면 숙달목표를 지향하게 하는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
도전적이지만 학생의 능력 범위 안에 있는 과제를 만들어 제시해 학생들이 과제의 성취 자체에 관해 관심을 갖게 할 경우 숙달목표를 지향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생들이 실제 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과제는 학습 과제 자체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이 삶을 살아가는데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할 수 있어 도움을 준다.
과제 및 학습 활동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도 좋다. 그러면 학습에 대한 자율성과 통제권을 자각하며 과제 자체에 대한 흥미가 증진되어 숙달목표를 지향하도록 할 수 있다.
언어적 피드백이나 보상을 줄 때 학생들에게 능력 향상이나 학습 진전 그리고 숙달에 초점을 맞춰 학생들이 숙달목표를 설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학생들이 협동을 통해 작은 집단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면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 수준 향상과 과제 숙달을 통한 집단 목표 달성을 중요시하게 된다. 그래서 소집단 협동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좋다.
마지막으로 평가 방법이다.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과제 수행을 평가하도록 하는 자기평가를 활용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서로 비교되는 성적보다 스스로 과제수행, 능력 향상에 관심을 갖게 되므로 숙달목표 지향을 도울 수 있다.
2. 성취동기이론
동기는 그 소재에 따라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나뉜다.
내재적 동기는 수행하는 과제 그 자체와 학습자의 흥미, 호기심, 자기 만족감과 성취감 등에서 비롯되는 동기로 과제 수행 활동 그 자체나 그로 인한 성취감이 보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속력이 강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반면에 외재적 동기는 보상, 경쟁, 처벌과 같은 외적인 자극에서 비롯되는 동기로 활동 그 자체나 그로 인한 성취감보다는 그것이 가져다줄 결과에만 관심을 갖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외적 자극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 쉽게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이 두 가지 동기는 서로 독립되어있다. 그러므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가 높을 수도 낮을 수도 있다.
외재적, 내재적 동기는 교사가 학생에게 부여하는 보상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촉진된다.
보상을 학생이 주어진 과제를 이행하거나 제출한 것 자체 혹은 특정한 수행을 하는 것과 연관하여 제공하면 보상을 얻기 위해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되므로 보상은 외재적 동기만을 자극하게 된다. 그러므로 더 이상 보상이 주어지지 않게 되면 과제 수행 자체에 대한 흥기마 감소하여 지속적인 학습 동기가 낮아진다.
보상이 과제 제출 자체가 아니라 실제 수행의 질이나 학생들의 과제 수행 능력, 혹은 질이 얼마나 향상되었느냐와 관련하여 제공될 경우 보상이 제공되었을 때 과제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믿게 되어 유능감과 자기 효능감이 증진되어 지속적인 내재적 동기가 촉진될 수 있다.
사실상 내재적 동기가 향상되는 것이 지속적으로 학습 동기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내재적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재적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상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야한다.
내재적 흥미가 없는 과제에 보상을 사용하게 되면 처음에 내재적 흥미를 느끼지 않는 과제이더라도 흥미를 갖기 시작하게 된다. 흥미를 갖기 시작하면 보상을 줄이고 과제의 가치를 깨달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과제 수준 향상에 보상을 제공한다는 것을 미리 밝히는 것이다.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의 수준이 학생 자신의 이전 과제와 비교했을 때 향상되었을 경우 보상이 제공됨을 알게 되면 과제 수준 향상에 대해 관심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실제로 과제 수준과 질이 향상되었을 때 보상받으면 학생들은 과제 수준 향상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보상은 내재적 동기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향상된 과제의 수준과 질에 따라 차별적 보상을 제공할 경우, 학생들의 성취동기를 자극하게 되므로 내재적 동기를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성취동기라는 것을 또 따로 살펴볼 수 있다.
성취동기는 도전적인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서 만족을 얻으려는 욕구로 성취 결과와는 관계없이 성공 그 자체를 중시한다.
성취동기는 도전할 가치가 있는 일을 탐색하도록 하고 그러한 일들을 능률적으로 수행하여 성취할 수 있는 자신감을 부여하므로 성취동기가 높으면 결과적으로 더 많은 성취를 하게 된다.
'일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학5-학습자의 인지발달이론 (0) | 2023.03.28 |
---|---|
교육심리학3-믿음에 의한 동기이론정리(2) (0) | 2023.03.18 |
교육심리학2-믿음에 의한 동기이론 정리 (0) | 2023.03.18 |
교육심리학1-욕구에 의한 동기 이론 정리 (1) | 2023.03.16 |
교육과정학1-교육과정 개발모형 정리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