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교육론 07-20 기출키워드 정리
안녕하세요 ! 여긴.. . 현업과 관련된 카테고리 입니당.
n년간의 고시생활을 경험해왔는데,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그 시간들을 다 잊어버리기 전에 남겨버리려고 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기억이라는 것은 시간이 지나면 미화가 되죠,,
그 때 그 시절 굉장히 괴로워하며 보낸 시간들의 산출물. 풀어볼까 하는 마음으로 카테고리를 만들어 봤어요.
주류가 되는 과목이 아니다보니 정보찾기가 힘들었던 나의 수험생활을 떠올리며
최신 자료는 아닐지 몰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해 올려봅니당.
가장 찾기 힘들었던 교과교육론 먼저 공유해요 ! (그 다음은 전공 ^,^)
연도 / 과목구분(총론, 교수학습, 실기지도 및 평가, 교육평가)
/ 출제 문항 / 출제 키워드 순으로 정리해봅니다!
[2007년]
* 교수학습방법
3번. 타일러 설계
4번. 직소, 동료교수법
* 교육평가
5번. 신뢰도
[2008년]
* 교수학습법
3번. 토의 토론법
4번. 교수목표 설정. (블룸)
* 교수평가
5번. 규준지향평가
5번. 평가유형
[2009년]
* 교수학습법
5번. 가네의 목표진술
7번. 팀티칭
10번. 가네 사태
12번. 실연, 강의, 시범, 반복법
2차 2번. 켈러의 ARCS학습동기이론
* 교육평가
6번. 수행평가의 종류 (실기시험, 토론, 포트폴리오, 실험실습, 연구보고서)
9번. 변별도
11번. 형성평가
2차 1번. 형성평가
[2011년]
*교수학습법
5. STAD, COOP-COOP
6. 메이거 행동목표
7. 가네 학습사태
8. 발견탐구학습
2차 1번. 블룸의 완전학습
2차 3번. 듀이, U러닝
*교육 평가
9. 포트폴리오
11. 수행평가
12. 평가유형
[2012년]
* 교수학습법
6. 직소 모형
7. 딕캐리 모형
8. 블렌디드 학습
9. 어슈어모형
10. 켈러의 ARCS
*실기교육론
3. 케디의 개별학습
*교육평가
1. 진단, 형성평가
3. 실기평가의 평가유형
4. 수행평가
5. 타당도, 이원분류표
2차 1번. 실습보고서
[2014년]
* 교수학습법
a1. STAD, 프로젝트법
a4. 캘러 ARCS
*실기교육론
a5. 실기평가, 포트폴리오
*교육평가
a5. 포트폴리오
b1. 평가유형
[2015년]
* 교수학습법
a2. 직소모형
b1. 인지적 도제
b2. 메이거의 행동목표
* 교육평가
a1. 평가유형
[2016년]
* 교수학습법
1. STAD
2. PBL
2. 브레인스토밍
* 교육평가
9. 문항유형
[2018년] * 총론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 총론
1. 구조
* 교수학습법
2. 토의 토론유형
8. 어슈어모형
9. 플립드러닝
10. 캘러의 ARCS
[2020년]
* 총론
5. 각론 (메이크업)
* 교수학습법
2. 딕캐리 모형
메이거
6. 직소, STAD 모형
* 교육평가
5. 문항유형
5. 내용타당도
[2023년]
* 총론
a1. 각론 (피부미용 내용영역, 학습목표)
a5. 각론
a6. 총론
b4. 각론
23년도 시험은 대비하지 않아서 총론의 영역만 확인해봤어요.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흐름 참고용으로 적어놓았던 자료에요!
미용임용에서의 교과교육론 출제 범위는 대부분 교수학습법과 교육평가였는데요,
다른 실기과목과 다른점 특히 공업교육론쪽 출제 경향과 다른점은 실기교육론 내용이 적다는 부분이었어요.
하지만 포스팅을 위해 2023학년도 시험지를 살펴보니.! 이제 가물가물하여 정답을 확신할 순 없었지만
확실하게 실기교육론의 내용이 출제되었네요( 연습법)
2012년부터 출제되기 시작해서 잠시 출제되지 않았었지만 다시 출제된 걸 보니 실기교육론 내용 중에서도 확실히
교육법에 대한 내용은 넘기면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또 크게 와닿는 점은 갈수록 총론과 각론의 출제 문항 수가 많아지고 있어요.
눈에 띄게 증가하는데요, 특히 교육과정 총론 속 미용과목에대한 각론내용이 2020학년도부터 2023년까지 연속으로 출제되었습니다.
이전 각론내용은 정말 소홀하게 봤었는데요, 설마 이런 것 까지 내겠어 했던 내용들이 2년 연속, 그리고 23년도에는 더 많은 문항수로 출제된 것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긴 합니다.
전공도 파기 바쁜데 각론까지 냅다 외워야하는 때가 되었네요,,
사실 교수학습방법과 교육평가는 교육학을 준비해놓으면 정말 무리없이 풀 수 있는 난이도였지만
총론, 각론, 실기교육론은 따로 공부해야하는 범위에 속하는 것 같아요. . 공부량이 더 많아진 느낌
그리고 또 한가지 느낀점! 2023학년도 전공A시험지를 보니 산화염료 성분에 대한 문제가 있었어요.
부작용을 일으키는 성분에 대한 내용이었는데요,
작년 하반기 즈음에 전체적으로 파라계 산화염료 관련 이슈가 있었던 것 아시나요??
그래서 국내 염색약 제조사, 유통사들에서 입장문을 발표했던 일이 있었답니당.
항상 그 해 이슈가 되었던 내용은 꼭 시험문제로 이어진다는 느낌을 받고 있어요,
그러니 미용관련 뉴스나 이슈를 들었다면! 꼭 관련해서 어떤 문제가 나올지 예상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거에요!!
아주 많은 내용은 아니지만은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올 한해도 화이팅입니다 이 글 보신 분들 모두 모두 정말 잘 될거에요! ❤
열심히 하신분들 성과이루시길, 부족했다고 생각 들더라도 의문에 합격하시길 응원해요 !